1. 노모그래프(Nomograph, Nomogram)
어떤 함수 관계에서 몇 개조의 그룹을 조합하여 그 값이 쉽게 읽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계산 도표, 그래프를 말함.
<fig. 1>
Vibration Nomograph (변위-속도-가속도-주파수)

Vibration Nomograph는 그래프 내에 진동변위, 진동속도, 진동가속도를 함께 표기한 그래프임.
– 진동속도 = 진동변위 × 2π × frequency
– 진동가속도 = 진동속도 × 2π × frequency
상기 그래프에서 주파수(x축)별 진동속도 값은 y축 눈금으로 읽을 수 있음. 이 진동속도 값을 변환한 진동변위 값은 오른쪽 세로축의 사선 눈금을 읽어서 확인하며, 진동가속도 값은 왼쪽 세로축의 사선 눈금을 읽어서 확인함.
<fig. 1>과 같이 진동속도 값이 80 μm/s [16 Hz]의 경우는 진동변위 값 0.796 μm [16 Hz]이며, 진동가속도 값은 0.804 gal [16 Hz]임.
2. 이너턴스 그래프(Inertance Graph)
Receptance, Mobility, Inertance는 구조물의 진동응답 특성을 나타나는 용어로 진동응답을 변위, 속도, 가속도로 표기될 때 사용되는 용어임.

<fig. 2>
이너턴스 그래프 (주파수별 진동응답 그래프)

Fig. 2 그래프와 같이 구조물(장비 설치바닥)에 대한 진동응답 특성을 알고 있고, 바닥에 놓여질 동하중을 아는 경우, 장비 가동시 발생하는 진동응답을 예상할 수 있음.
예시) Inertance 값이 2×10-5 (m/s2)/N @ 6.5Hz인 바닥에 1000 N @ 6.5 Hz의 힘을 발생하는 장비를 설치할 때 바닥에 발생하는 예상 진동은 ?
2×10-5 (m/s2)/N ⅹ 1000 N = 0.02 m/s2 = 2.0 cm/s2(=gal)
장비 가동 시 바닥에서는 2.0 gal의 진동이 발생함.
※ 진동응답의 표기를 진동변위, 진동속도, 진동가속도 등으로 표기하는 것은 장비의 진동기준에 따라 맞춰서 사용하기 위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