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동가속도레벨 (VAL, Vibration Acceleration Level)

진동의 물리량을 dB로 나타낸 것으로 사람의 감각력의 대한 변화폭을 쉽게 나타낼 수 있다.

\[ VAL[\text{dB}] = 20 \log \left( \frac{A_{\text{rms}}}{A_{\text{ref}}} \right) \]

Arms : 실효치 (측정값)
Aref : 기준치 (Reference Value)

※ 진동 가속도 기준치(Aref )는 “KS/ISO 1683:2014 Acoustics – Preferred reference values for acoustical and vibratory levels” 규격에서 제시하고 있음. (기본적으로 진동량 기준값을 1 m/s2로 제시하고 있으나, 구조 전달음과 관련하여 한국에서는 10 μm/s2을 사용할 수 있음.)

<Table 1> 진동량에 대한 기준값 (KS/ISO 1683:2014)

Quantity Reference value (기준값)a
진동 변위 (Vibratory displacement) 1 pm
진동 속도 (Vibratory velocity)b 1 nm/s
진동 가속도 (Vibratory acceleration)c 1 μm/s2
진동력 (Vibratory force) 1 μN

a 어떤 진동량에 대한 레벨을 구하기 위하여 사용된 기준값은 언제나 해당 레벨과 함께 표기되어야 한다.
b 구조 전달 음과 관련하여, 50 nm/s의 기준값도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진동 속도 레벨은 관련된 음압 레벨 및 음향세기 레벨과 근접한 값을 갖는다.
c 구조 전달 음과 관련하여 10 μm/s2의 기준값도 사용되고 있다.

<Table 2> Decibel Reference Levels (ISO R 1683)

Quantity Definition  Reference value
Vibratory Acceleration \[ L_A = 20 \log \left( \frac{A}{A_0} \right) \text{dB} \] A0 = 10-6 m/s2
Vibratory Velocity \[ L_V = 20 \log \left( \frac{V}{V_0} \right) \text{dB} \] V0 = 10-9 m/s
Vibratory Displacement \[ L_D = 20 \log \left( \frac{D}{D_0} \right) \text{dB} \] D0 = 10-12 m
Vibratory Force \[ L_F = 20 \log \left( \frac{F}{F_0} \right) \text{dB} \] F0 = 10-6 N
2. 진동레벨 (VL, Vibration Level)

인간이 느끼는 진동크기는 주파수와 레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진동가속도레벨(VAL)에 가중치(Weighting)를 적용하여 주파수에 따라 다른 인간의 감각적 반응을 고려한다.
즉, 진동가속도레벨(VAL)에다 인체의 진동감각특성을 보정한 것이 바로 진동레벨(VL)이다.

\[ VAL = VAL + W_n \, \text{dB}(V) \, \text{or} \, \text{dB}(H) \]

dB(V) : 수직 가중값
dB(H) : 수평 가중값

※ 인간의 진동에 대한 반응은 진동방향(수직, 수평)에 따라 느끼는 감각이 다름. (수직 및 수평 방향별 가중값이 다름)

<fig. 1>

Frequency weighting curves for principal weightings (KS B ISO 2361-1 : 1997)

Wk : z방향, 수직으로 누운 방향 (머리부는 제외)
Wd : x 및 y방향, 수평으로 누운 방향들
Wf : 멀미와 관련된 단축 주파수 가중 함수 (수직)

<fig. 2>

Frequency weighting curves for additional weightings (KS B ISO 2361-1 : 1997)

Wc : 좌석의 등판측정
We : 회전 진동 측정
Wj :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 밑 접촉부의 진동측정